포켓로그 무한모드에서 1000층 이후의 난이도는 급상승합니다. 특히, 2000층이 넘으면 상당한 실력 없이는 한 층 넘어가기도 쉽지 않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도주런을 활용한 포켓몬 세팅이 필수적입니다. 도주 특성을 가진 포켓몬을 이용해 빠르게 다음 층으로 넘어가는 플레이 방식이 필요합니다.
무한모드 난이도 상승
포켓로그 무한모드는 5850층이 끝입니다. 여기까지 도달하기 위해서는 도주런 이외에는 방법이 없다고 봐도 무방합니다. 도주런은 무한 모드의 최종 단계에 도달하는 데 가장 효율적인 방법입니다. 도주 특성을 가진 포켓몬을 이용해 일반 층을 빠르게 통과하고, 이로치 포켓몬을 포획하며 마스터볼을 수급할 수 있습니다. 2000층까지 진행하면서 마스터볼 50개는 꼭 준비해야 안전합니다.
핵심 포켓몬과 특성
도주 특성을 가진 포켓몬으로는 꼬렛, 꼬리선, 직구리(지그제구리)가 있습니다. 직구리는 패시브 도주 특성을 사탕으로 해금해야 합니다. 이 포켓몬들을 사용하면 일반 층을 빠르게 통과할 수 있습니다.
추천 포켓몬으로는 2000층까지는 강력한 포켓몬이 필요합니다. 자시안과 미라이돈, 그리고 광역기를 보유한 전설 포켓몬들인 레쿠쟈, 레시라무, 그란돈, 가이오가가 좋은 선택입니다.
보스전 공략
보스전에서는 고정 대미지 기술인 소금절이와 스톤샤워를 활용하는 콜로솔트가 필요합니다. 도롱충이(암컷)도 옹골참 특성과 메탈버스트, 방어 기술을 통해 고정 데미지와 생존을 동시에 유지할 수 있어 유용합니다. 50층마다 보스전에서는 패러독스 포켓몬이나 무한다이노가 등장하며, 전투 루틴은 소금절이 ▶ 방어 ▶ 물붓기 ▶ 팬텀콜로솔트로 교체 ▶ 방어 ▶ 저주 ▶ 방어의 순서로 진행됩니다. 방어를 중간에 섞는 이유는 먹다 남은 음식과 열매로 HP를 채우기 위함입니다.
준비물 세팅법
게임을 시작할 때는 메인 캐리용 포켓몬과 지그제구리, 콜로솔트, 도롱충이(암컷), 토중몬으로 구성된 팀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초반을 더 편하게 진행하고 싶다면 에블리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직구리는 꼭 패시브를 해금해야 하며, 콜로솔트는 옹골참 특성을, 도롱충이는 암컷을 사용해야 합니다. 토중몬은 합치기 전에 절대로 진화시키면 안 됩니다. 유전자쐐기로 합쳐진 후 진화하면 포켓몬과 아이템이 복사됩니다.
유전자 쐐기 우선순위
유전자 쐐기 우선순위는 콜로솔트 + 토중몬, 직구리 + 페리퍼, 직구리 + 콜로솔트, 팬텀 + 콜로솔트 순서로 하는 것이 좋습니다. 콜로솔트와 토중몬을 합친 후 진화시키면 콜로솔트가 복제됩니다. 팬텀과 콜로솔트를 합치면 팬텀의 저주와 스킬스왑을 배울 수 있으며, 스킬스왑은 상대 특성에 따라 전투 루틴이 깨지는 것을 방지하는 데 유용합니다.
도주런 진행
도주런을 통해 2000층에 도달한 후 직구리콜로솔트를 이용해 도망가기를 지속적으로 선택하며, 도주가 불가능한 포켓몬이 나타나면 마스터 볼을 이용해 포획합니다. 도주 특성을 가진 포켓몬과 패시브 해금을 통해 높은 층에서도 효율적으로 게임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포켓로그 무한모드의 2000층 이후는 매우 어려운 도전이지만, 도주런 공략법과 준비물 세팅법을 잘 활용하면 끝까지 도달할 수 있습니다.
'포켓로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포켓로그 포켓러스 정보 알아보기(보라색 테두리) (0) | 2024.07.16 |
---|---|
포켓로그 뮤츠 기술배치, 성격, 패시브, 특성, 종족값, 타입, 유전자쐐기 정보 (0) | 2024.07.15 |
포켓로그 레쿠쟈 기술배치, 성격, 패시브, 특성, 종족값, 타입, 유전자쐐기 정보 (0) | 2024.07.14 |
포켓로그 성격 정리, 마음의 물방울 활용법 (0) | 2024.07.13 |
포켓로그 바이옴 맵 지역 지도 (한글) (0) | 2024.07.13 |